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지역 6월 섬유 수출실적 발표
전년동월 대비 66.5% 증가한 260.5백만불 기록, 2019년 동월대비 6.3% 증가
2021년 수출누계(1~6월)도 전년동기 대비 24.3% 증가한 1,427.9백만불 기록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은 한국무역협회, 통계청 및 산업통상자원부 등의 자료를 분석, 6월 대구·경북지역 섬유 수출 관련 통계자료를 발표했다.
대구·경북지역 6월 섬유 수출은 미국, EU 등 주요 섬유 수출국의 전방산업 업황개선과 펜트업(보복소비) 효과에 의한 글로벌 섬유 수요 회복 및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66.5% 증가한 260.5백만불을 기록(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 동월대비 6.3% 증가)했으며, 2021년 수출누계(1~6월)도 전년동기 대비 24.3% 증가한 1,427.9백만불을 기록했다.
※ 대구 : 전년 동월대비 100.4% 증가(81.8백만불) (2019년 동월대비 0.5% 증가)
경북 : 전년 동월대비 54.5% 증가(178.7백만불) (2019년 동월대비 9.2% 증가)
전년동월 대비 품목별 섬유 수출을 살펴보면 섬유원료 60.8%, 섬유사 129.8%. 섬유직물 71.0% 증가한 반면, 섬유제품은 18.7%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의 주 수출 품목인 폴리에스터 직물과 니트의 수출을 살펴보면 폴리에스터 직물은 전년 동월대비 91.9%(2019년 동월대비 18.6% 감소)증가했으며, 니트는 전년동월 대비 74.9%(2019년 동월대비 2.1% 증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섬유류 월별 수출 현황>
(단위 : 백만불, %)
구분 | 2020년 | 2021년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 | 2 | 3 | 4 | 5 | 6 | |
대구경북 | 245 | 157 | 122 | 157 | 182 | 168 | 201 | 197 | 209 | 235 | 206 | 207 | 251 | 251 | 251 | 261 |
증감율 (전년동월대비) |
-0.4 | -41.9 | -54.8 | -35.9 | -31.3 | -30.0 | -12.2 | -23.6 | -12.9 | -8.6 | -8.4 | -15.5 | 2.4 | 59.9 | 105.7 | 66.5 |
전국 | 987 | 751 | 683 | 822 | 970 | 790 | 1,063 | 937 | 1,019 | 1,114 | 911 | 844 | 1,076 | 1,100 | 1,073 | 1,125 |
자료: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텍스토피아 통계자료(한국무역협회 자료가공)(1인이상)
주요국별 섬유 수출을 살펴보면 미국(25.0% 증가), 중국(34.3% 증가), 베트남(58.2% 증가) 및 터키(92.5% 증가) 등 전 주요 수출국에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 국가별 수출 현황(2021년 6월)>
(단위 : 백만불, %)
구 분 | 미국 | 중국 | 베트남 | 터키 | 일본 | 인니 | 사우디 | UAE | 홍콩 | 전세계 | |||
대구경북 | 2020년 | 6월 | 금액 | 31.8 | 23.2 | 15.9 | 9.0 | 10.7 | 4.7 | 1.1 | 1.6 | 1.7 | 156.4 |
증감률 | -11.1 | -8.5 | -40.7 | -51.5 | -36.9 | -47.5 | -82.1 | -73.4 | -71.3 | -36.2 | |||
비중 | 20.4 | 14.8 | 10.2 | 5.7 | 6.8 | 3.0 | 0.7 | 1.0 | 1.1 | 100.0 | |||
2021년 | 6월 | 금액 | 39.8 | 31.2 | 25.2 | 17.3 | 14.2 | 8.3 | 2.9 | 4.0 | 3.4 | 260.5 | |
증감률 | 25.0 | 34.3 | 58.2 | 92.5 | 33.5 | 74.8 | 158.9 | 155.5 | 101.9 | 66.5 | |||
비중 | 15.3 | 12.0 | 9.7 | 6.6 | 5.5 | 3.2 | 1.1 | 1.5 | 1.3 | 100.0 |
자료: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텍스토피아 통계자료(한국무역협회 자료가공)(1인이상)
한국섬유개발연구원 관계자는 “지역 섬유산업이 6월에는 코로나19 백신접종 확대에 따른 기대심리, 계절적 성수기에 따른 오더 증가 및 전년 대비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5월에 이어 수출실적 호전세를 이어 갔으나, 7월에 들어서면서 코로나19의 재확산 및 계절적 비수기의 영향으로 인한 오더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수출 화물운임의 폭등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라고 전했다.
<김진일 기자>
뉴스 정보 서비스 | 스마트텍스크루 | 대한민국
한국섬유경제신문 온라인 부록판 스마트텍스크루는 우리나라 섬유소재 산업의 특화, 발전을 위한 뉴스 정보 서비스입니다.
www.smarttexcrew.com
한국섬유경제
전북도, 케나프 기반 ... 전북도는 7월 15일, 행정안전부...
www.ktenews.co.kr
대구·경북지역 6월 섬유 수출 증가세 > HOT NEWS | 한국섬유경제 (ktenews.co.kr)
대구·경북지역 6월 섬유 수출 증가세 > HOT NEWS | 한국섬유경제
대구·경북지역 6월 섬유 수출 증가세 2021-08-12 09:25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발표 전년동월 대비 66.5% 증가한 260.5백만달러 기록 2019년 동월대비 6.3% 늘어나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은 한국무역협회, 통계
www.ktenews.co.kr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KOTMI - 경북 소재 고졸 미취업 청년 친화기업 경쟁력강화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0) | 2021.09.28 |
---|---|
한국섬유경제신문 뉴스레터 '스마트텍스크루 (0) | 2021.09.21 |
KOTMI – 고졸 미취업 청년 친화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사업 추진 (0) | 2021.07.18 |
에코융합硏, - 재해재난 융복합소재산업 수혜기업 모집 (0) | 2021.07.16 |
KTDI, 대구·경북지역 5월 섬유 수출실적 및 경기동향 발표 (0) | 2021.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