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범부처 바이오산업 혁신 TF,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전략’ 발표

통계 및 공지/섬유산업 정부· 기관 정책

by 텍스뉴스 Texnews 2021. 1. 13. 19:40

본문

범부처 바이오산업 혁신 TF,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전략발표

화이트바이오플라스틱 개발·보급, 밸류체인 강화, 산업생태계구축 등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장관 성윤모)는 지난 123일 개최된 혁신성장전략회의를 통해 범부처 바이오 산업 혁신 TF에서 마련한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전략을 확정했다.

 

최근 미·EU 등 선진국은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해결, 탄소 저감 등을 위한 산업적 대안으로 바이오플라스틱 등 화이트바이오 산업을 주목하고 있는 상황이다.

 

화이트바이오 산업은 기존 화학산업의 소재를 식물 등 재생 가능한 자원을 이용하거나 미생물, 효소 등을 활용해 바이오기반으로 대체하는 산업(연료, 플라스틱, 개인 생활용 제품 등)을 지칭한다.

()BASF, ()Dupont 등 글로벌 석유화학 기업들은 바이오기업과 협력해 전략적 기술제휴 등으로 산업을 주도하고 있으며, 바이오벤처 참여도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또한, 미국유럽 등은 환경규제를 강화함과 동시에 R&D 등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석유화학(SK, LG화학 등) 및 발효전문(CJ제일제당 등) 대기업 중심으로 기술 확보를 위해 노력 중이지만 일반 플라스틱에 비해 2~3배 높은 가격, 협소한 국내 시장 등으로 사업화 진전 속도가 더딘 상황이다.

 

최근 국내 기업들의 바이오플라스틱 투자 발표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의 적극적인 초기수요 창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이어짐에 따라, 정부는 미래 유망산업인 화이트바이오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를 위한 수요 창출 지원, 규제 개선, 기반 구축 등으로 민간 투자를 견인할 계획이다.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전략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의 개발 및 보급 확대로 순환경제 실현, 화이트바이오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밸류체인 강화, 산업군 형성 위한 기반 구축에 대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바이오플라스틱 개발·보급 확대

 

 

 

 

 

 

 

 

 

 

 

 

소재·제품화의 경우, 기존 플라스틱의 대체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개발을 위해 소재 제품화 및 신규 소재 발굴을 지원한다.

기 상용화된 PLA, PBAT를 활용한 제품화(제품 개발, 물성 개선 등)를 우선 지원(20~, 산업부)하되, 바이오 기반 차세대 소재 개발 지원을 병행(‘22~, 신규 사업 기획중)한다.

 

시장 창출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보급-확산의 효용성 검증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단계적 도입 확대로 대규모 수요창출을 견인한다.

 

다중이용시설 등에 개발한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보급·회수해 생분해성을 평가하는 실증사업 추진(‘20~’24, 산업부 지원, SKC·화학연·울산시 등 공동수행 중)하며, 정부인증 시험평가방법 다양화,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특화 시험평가기관 구축 등 정보 제공 및 사용 촉진 기반을 마련한다.

 

, 생분해성 수지 제품의 환경성과 위해성 확인·검증과 함께 생분해 조건 기준을 다양화(토양·수계·해양 등, ‘21~, 환경부)하며, 시장 확대 속도에 맞게 소규모 생분해 처리 실증부터 추진해 별도 쓰레기 처리체계 검토 등까지 보급 기반을 마련한다.

 

 

 

? 화이트바이오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밸류체인 강화

 

 

 

다양한 응용기술 기반의 R&D 지원을 통한 산업 확장을 추진한다.

합성생물학 등 바이오신기술 활용 균주개발 및 제품 고도화 지원, 의료용·화장품용 신소재 개발, 석유계 프리 천연 가소제 등 제품화를 지원한다.(‘20~, 산업부)

이를 통해 유전자가위 등 바이오신기술 적용 산물을 활용한 화이트바이오 제품 개발의 확대가 전망되며, 규제개선을 통한 신기술 개발이 촉진될 전망이다.

시간·비용 소모가 큰 위해성 심사를 대신해 보다 간소화된 사전검토제를 통해 수입·생산 승인 등을 면제 추진(유전자변형생물체법 개정, 산업부, ‘21.상반기)하는 한편, 바이오기업-화학기업 간 협력, 소재 공급기업-제품개발 기업 간 공동 개발, 파트너십 구축 등을 통해 산업 밸류-체인 고도화를 추진한다.

 

? 산업군을 형성하기 위한 기반 구축

 

 

바이오기술과 화학공정기술 양대분야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화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인력 및 현장 생산인력 양성을 추진하며, 기존에 없던 차별화된 제품 개발이 많은 만큼 특허 창출 지원 및 판로개척 등 해외 수출도 지원한다.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시제품 생산, 시험 평가 등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사업화를 지원하고, 구축 중인 지역 기반 인프라 활용 및 그린뉴딜 관련 유망 중소기업 발굴·지원한다.

 

 

<김진일 기자>

 

 

ktenews.co.kr/bbs/board.php?bo_table=textile&wr_id=5147

 

범부처 바이오산업 혁신 TF,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전략’ 발표 > 섬유/소재 | 한국섬유경

범부처 바이오산업 혁신 TF,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전략’ 발표 화이트바이오플라스틱 개발·보급, 밸류체인 강화, 산업생태계구축 등 2021-01-12 20:01 범부처 바이오산업 혁신 TF, ‘화이트바

ktenews.co.kr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