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산업용섬유 활성화 기반구축-이업종교류사업 확대·유도 선행돼야

뉴스 섹션/섬유기계산업(산업용섬유)

by 텍스뉴스 Texnews 2007. 10. 29. 22:18

본문

 

산업용섬유 활성화 기반구축-이업종교류사업 확대·유도 선행돼야

   산자부 일변도 R&D사업에서 정부부처간 협력사업 추진 선행돼야



산업자원부와 한국부품소재산업진흥원이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섬유산업스트림간 협력사업’.

1차 사업으로 섬유스트림 10건과 패션스트림 5건 등 총 15건이 선정돼 추진되고 있다.

2년 단기과제인 지정·자유공모 방식과 1년 단기 과제인 자유공모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스트림사업은 내년부터 추진될 2차 스트림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그 범위는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물론 사업예산의 배정이 얼마만큼 반영되느냐에 따라 적잖은 변수를 나타내겠지만 2008년도 기술수요조사에서 폭발적인 업계의 과제기획 참여가 나타난 만큼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산업용섬유분야의 경우 전체 94건의 제안서 가운데 23건, 24.5%로 의류용섬유 41건 43.6%에 비해 낮은 수치이지만 대기업, 중소기업, 연구소, 대학 등이 신청한 시장창출, 수입대체, 수출확대, 비용절감을 키-워드로 한 사업과제 기획은 크게 증가했다.

23개 과제 기획사업 가운데 최종 몇 개의 과제가 채택될지는 두고 볼 사항이지만 최소한 1과제당 3~4개의 기업이 스트림으로 참여할 경우 60여개에서 90여개에 이르는 스트림 관련 기업들이 스트림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표명한 것이다.

특히 수요조사에서 나타난 사업비 신청만 1차년도 26,233백만 원과 2차년도 25,883백만 원을 합해 총 52,116백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섬유업계의 산업용섬유 기반의 사업 계획 적극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참여가능 폭은 크게 뒤떨어지는 수준이다.

섬유산업이 스트림간 연계의 중요성도 중요하지만 수평계열화의 특성에 맞춘 사업 추진과 산업자원부 고유사업으로 한정돼 추진되다보니 수직계열화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산업용섬유 분야 연구·개발 및 마케팅에서는 당연히 한계상황에 직면할 수 밖에 없다.

섬유업계 및 관련 연구기관 또한 이러한 산업자원부 중심의 편중된 사업 전개에서 벗어나 여타 부처와 타 업계 및 기관과의 협력사업 모델을 추진하기를 희망하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산업용섬유를 생산하고 있는 업계 관계자는 “섬유업종 내부 간 협력을 바탕(수평계열화)으로 여타 관련 산업으로의 진출에는 참여 기회가 극히 한정돼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생산된 산업용섬유 완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마케팅을 별도로 추진해야하는 등의 이중고를 겪을 수밖에 없다”고 전하고 있다.

특히 “산업용섬유의 경우 철저한 라인-업(수직계열화)시스템에 바탕 둔 제품개발과 마케팅(공급)이 이뤄져 제품개발 초기단계에 섬유기업이 참여하지 않을 경우, 신제품개발의 의미는 크게 퇴색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른 기대효과 또한 반감된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정부부처 간 수평계열화 사업(스트림간 연계사업)과 연계한 산업 분야간 수직계열화 사업의 적극적인 지원을 희망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군복, 경찰복, 작업복 등 기능성유니폼 분야의 소재개발은 조달청, 경량소재, 내열성 소재, 극한소재 개발 등 우주항공용 섬유개발은 과학기술부, 지오텍스타일, 수송용 섬유 등은 건설교통부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산업용섬유를 확대·접목시킬 수 있는 대안 모색이 그것이다.

물론 중소기업청을 비롯 몇몇 이업종교류·협력사업 형태의 연구·개발 모델이 제시되고 있긴 하지만 이 또한 예산배정 및 집행루트가 활성화되지 않아 기업 참여기회가 극히 제한돼 있다.

의류용 및 비의류용 섬유의 확대·접목과 섬유산업 재도약에 있어서 또 다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정부정책 부처 간 협력사업 모델의 도출.

과학기술부, 소방방재청, 조달청, 해양수산부, 보건복지부, 건설교통부, 농림부, 정보통신부, 문화관광부, 국방부 등이 섬유관련 협력사업 가능한 정부부처로 거론되고 있다.

지역의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봉제기술연구소 등은 독자적으로 여타분야 전문연구기관과의 MOU체결 등을 통해 타 산업과의 연계를 위한 작은 발걸음을 보이고 있긴 하지만 정부 차원의 부처 간·이업종 간 협력을 유도하기 위한 지원 정책 마련이 그 어느 때 보다 절실해 보인다. 

 


<대구 - 김진일 기자>


  


728x90

관련글 더보기